Products & Services/AmazonWebService (AWS)

AWS 의 다양한 서비스들 관계에 대한 이해

TechNote.kr 2016. 3. 26. 10:59
728x90

 이미 알겠지만 AWS (Amazon Web Services)는 기본적으로 Amazon에서 제공하는 Cloud 서비스를 통칭해서 부르는 명칭이다. 제공되는 서비스를 보면 굉장히 다양하고, 처음보는 경우 너무 많아 약간 혼란스러운 것도 사실이다. 이 글에서는 AWS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들을 카테고리 별로 정리해 보고, 상호간에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 확인해 보고자 한다.

 

 


우선 AWS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전에 AWS의 구성형태인 Cloud가 무엇인지 개념을 확인하고 갈 필요가 있다. 하기 링크를 통해 기존에 작성한 Cloud 관련한 글을 참고하면 이 글을 이해 하는데 좀 더 도움이 될 것 같다.


[관련 글]


-. Physical Server, Virtual Server, 그리고 Cloud


Cloud 에 대한 개념을 이해하고 있는 가정하에 시작해 보고자 한다. 우리는 https://aws.amazon.com 에 접속해서 몇 번의 클릭만으로 나만의 서버를 만들 수 있다. Cloud Server가 있기 전에는 Server Hareware를 직접 구비하여 네트워크에 연결하여야만 Server를 운용할 수 있었던 반면, 이제는 원하는 규모의 서비스들을 몇번의 클릭 만으로 구매해서 상호 연결 한 후 서버를 운용할 수 있다. 


그렇다면 대표적인 Cloud Service인 AWS에는 어떤 서비스들이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자.


AWS에서는 크게 카테고리를 12개로 나누고 있다. 


컴퓨팅, 스토리지 및 콘텐츠 전송, 데이터베이스, 네트워킹

분석, 엔터프라이즈 애플리케이션, 모바일 서비스, 사물인터넷

개발자 도구, 관리 도구, 보안 및 자격 증명,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서비스를 운용하기 위한 가장 기본이 되는 인프라 서비스로 "컴퓨팅", "스토리지 및 콘텐츠 전송", "데이터베이스", "네트워킹" 을 지원하고 있고, 이런 인프라에 부가적인 서비스로 "분석", "엔터프라이즈 애플리케이션", "모바일 서비스", "사물인터넷" 을 지원하고 있다. 추가적으로 개발자 생산성 및 운영 효율성 향상을 위해 "개발자 도구", "관리 도구", "보안 및 자격 증명",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지원한다.






이 서비스들 중에 가장 기본이 되는 즉, 일반 컴퓨터로 치면 CPU, RAM, HDD 등 기본 구성요소가 되는 서비스가 "컴퓨팅" 항목에 "가상 서버"이다. 이 가상 서버를 중심으로 부가적인 서비스들이 붙어서 동작하게 된다.




공식 명칭은 Amazon EC2.


Amazon EC2를 시작하면 일단 컴퓨터는 준비된 것이니, 이제 운용하는데 부족한게 무엇인지 확인해서 점차 서비스들을 붙여나가면 된다. 


Storage


예를 들어 저장 공간이 부족하다 싶으면 "스토리지 및 콘텐츠 전송" 을 선택해서 추가 저장 공간을 연결해 주면 된다.


위와 같이 다양한 storage를 선택할 수 있는데, 자세한 것은 추가 article에서 확인해 보기로 하고 대표적인 2개만 소개하자고 하면 다음과 같다.


Amazon S3, Amazon EBS.. Amazon EBS 같은 경우는 컴퓨터에 직접 붙이는 추가 하드디스크와 같다고 보면 이해가 쉬울 것 같다. 반면 Amazon S3 의 경우는 네트워크 저장소와 같이 원격에 있는 저장소라고 보면 이해가 쉬울 것이다. 이와 같기 때문에 EBS 같은 경우는 크기가 정해져 있고, 가격이 비싼 반면, S3는 무한대로 확장가능하고, 속도가 다소 느린게 특징이다.


Database


이번에는 서버를 운영한다고 하면 반드시 설치해야 하는 데이터 베이스이다. 사실 기본이 되는 EC2에 mysql 과 같은 database를 설치하고 사용해도 문제는 없다. 하지만 amazon에서는 사용자 편의를 위해 Database 관련 서비스들을 제공하고 있고, 그 중심에는 Amazon RDS가 있다. 


간략히만 소개하자면 Amazon RDS를 사용하게 되면 손쉬운 환경 설정, 백업, 보안 강화등이 이루어지게 된다. EC2에 데이터베이스를 직접 설치해서 사용한다면 이런 부분들을 직접 신경써줘야 하는 부분이 있다. 




Networking


다음은 네트워킹이다. 서버 운영에 있어 네트워킹 또한 가장 중요하게 살펴보아야 하는 부분이다. 서비스 제공 초기 단계라 사용자가 별로 없어 네트워크 자체에 부하가 별로 없다면 크게 관심을 두지 않아도 되겠지만 그렇지 않다면 기본적으로 신경써야 한다. 많은 수의 사용자가 접속시 Load Balancing을 해주는 Elastic Load Balacing, 굳이 외부로 드러날 필요없는 내부 통신을 위한 Amazon VPC 같은 서비스들이 제공되고 있다.




Cloud Server를 운영하는데에는 이정도의 서비스들을 우선적으로 이해하고 있으면 크게 무리는 없을 것 같다. 이외으 서비스들은 추후에 살펴보겠지만 서버를 위한 기본적인 서비스들은 아니기 때문에 필요할 경우만 사용하면 된다. AWS를 처음 접했을 때 다소 당황했던 기억이 난다. 이 수많은 서비스들은은 무엇이고, 나는 대체 무슨 서비스를 사용해야 한다는 말인가. 이 글이 AWS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다.



[관련 글]


-. Physical Server, Virtual Server, 그리고 Cloud

-. AWS 의 다양한 서비스들 관계에 대한 이해

-. AWS 동작을 위한 최소 기본 설정.

-. AWS (Amazon Web Services) Port 열기.

-. AWS(Amazon Web Services) 인스턴스에 ssh 로 접속하기 (PuTTY)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