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ndows 와 Linux 간에 파일을 공유하기 위해서는 흔히 Samba 를 사용하곤 한다. Linux에서 Samba를 설정하여 Windows 에서 해당 Samba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UI를 이용한 설정 위주로 정리해 보았다.
대상 OS는 Ubuntu 16.04, Windows 10 를 기준으로 하였지만, 버전이 조금 다르다고 해서 큰 차이는 없다.
Samba 의 설정 on [Linux]
1. samba, system-config-samba 를 설치 한다. (root 권한 필요)
samba를 설치하게 되면 samba의 기본이 되는 smbd를 포함하여 각종 의존성이 걸린 package들을 자동으로 설치하게 된다.
# apt-get install samba
system-config-samba 는 samba 설정을 UI로 가능하게 해주는 package이다.
# apt-get install system-config-samba
2. samba 설정을 위하여 system-config-samba를 실행해보자. (root 권한 필요)
3. 하지만 아래와 같이 에러가 발생한다.
SystemError: could not open configuration file `/etc/libuser.conf` : No such file or directory
/etc/libuser.conf 파일이 없다는 에러로 touch 명령어로 /etc/libuser.conf를 생성해주자.
# touch /etc/libuser.conf
4. /etc/libuser.conf를 생성하고 system-config-samba를 실행하면 아래와 같이 실행이 된다.
5. + 아이콘을 눌러 설정을 추가하려고 하면 아래와 같이 "Create Samba Share" 팝업이 뜨게 된다.
6. 공유를 원하는 Directory를 선택하고, 해당 디렉토리가 Windows에서 보여질 이름을 기입한다. 그리고 쓰기 가능하게 하고, 설정한 Directory가 Windows 탐색기에서 보여지게 하려면 Writable과 Visible을 체크한다.
7 .하지만 위와 같이 설정을 해도 설정이 생성되지 않는다. 그 이유는 Samba User 계정이 아직 생성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좀 더 정확히 이야기하면 Samba 사용시 Linux의 계정을 같이 사용하긴 하지만 Samba password를 별도로 걸어준 계정만 사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현재까지 Samba password를 설정한 계정이 없기 때문에 사용가능한 계정이 없는 것이고, Samba를 사용하기 원하는 계정에 대해서 Samba password를 설정해 주어야 한다.
8. [Preferences] > [Samba Users...] 를 선택하여 원하는 계정에 Samba password를 설정해 주도록 하자.
9. "Add User" 를 선택하면 기존 존재하는 Linux 계정에 Samba password 를 설정할 수 있다.
10. 생성하기 원하는 계정을 선택하고, password를 설정한다.
11. 생성하게 되면 아래와 같이 새롭게 추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12. 아까 실패했던 Step 6을 다시 진행해보도록 하자. 이번에는 사용가능한 계정이 생겼으니 Basic 탭외에 Access 탭도 설정해 주도록 하자.
13. Access 탭은 어떤 계정이 권한을 가지고 현재 설정하는 디렉토리에 접근하도록 허용할지 설정하는 부분이다. user 계정만 해당 설정을 이용하도록 할 예정이므로 user 계정을 체크해 준다.
14. 모두 마치면 아래와 같이 새로운 samba 설정이 생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15. /etc/samba/smb.conf 를 보면 방금 설정한 부분이 추가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16. 설정을 모두 마쳤으니 samba daemon을 재구동 시켜준다. (root 권한 필요)
# service smbd restart
Samba 로의 접속 from [Windows]
1. 탐색기에 samba를 설정한 Linux 의 IP Address를 다음과 같은 양식으로 입력해 준다.
\\[samba를 설정한 Linux IP Address]
나같은 경우는 다음과 같았다.
\\192.168.0.66
위와 같이 접속을 하면 위에서 설정한 이름의 공유 폴더가 보인다.
2. 디렉토리 확인을 위해 누르게 되면 ID/Password 입력 팝업이 발생하는데 Samba 계정 설정시 만들어 놓은 ID/Password를 입력해 보자.
3. 아래와 같이 Linux 내의 파일들이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4. 추후에도 계속적으로 접속해야 하는 samba server라면 하나의 네트워크 드라이브로 등록해 놓으면 접속이 편리해진다. 마치 C:\ 와 같이 X:\ 이런식으로 드라이브로 정의해 놓는 것이다.
5. "내 컴퓨터"에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 "네트워크 드라이브 연결"을 선택해 준다.
6. 선택하면 아래와 같은 창이 뜨게 되는데 원하는 드라이브 이름과 Samba 경로를 넣어 주면 된다.
7. 아래와 같이 X:\ 드라이브로 경로가 추가되었다.
'OS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위 DNS 추가 및 Apache 가상 호스트 생성 (0) | 2019.03.18 |
---|---|
screen, 자유롭고 안정적인 Linux session의 사용 (0) | 2017.01.21 |
Linux - iconv - 파일(File) 인코딩(Encoding) 변경 (0) | 2017.01.07 |
Ubuntu, wpa_supplicant 빌드/컴파일 하기 (0) | 2016.12.29 |
자기 자신 IP Address C 코드로 확인하기.(SIOCGIFADDR) (0) | 2016.07.27 |
Linux 접속 차단하기. (TCP Wrapper) (0) | 2016.07.22 |
Linux/Ubuntu, 용량 큰 파일/디렉토리 찾아내기. (0) | 2016.07.13 |
Linux/Ubuntu, CD/DVD 를 ISO로 만들기 (0) | 2016.07.13 |